조선 초기 묘로 알려진 노회신 묘에서 벽화가 발견되었다. 조선 시대 묘에서 벽화가 발견되기는 두번째이고, 사신도가 그려진 예는 첫번째 발견이다.

[게몽]

+ 연합뉴스 +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보도자료



조선시대의 두 번째 벽화묘 그 모습을 드러내다.

- 원주 동화리 벽화묘(노회신 묘)의 본격적인 발굴 착수 -


문화재청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소장 연 웅)는 4월 16일(목) 14:00, 강원도 원주시 동화리에서 발견된 조선시대 벽화묘(노회신묘)에 대해 현지에서 학계의 관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회의를 개최하고 발굴조사 및 벽화의 보존처리를 진행할 예정이다.

벽화묘의 주인공은 교하노씨(交河盧氏) 15대손인 여흥도호부사 겸 권농병마단련부사(驪興都護府使, 勸農兵馬團練副使)를 역임한 조선시대 충정공(忠正公) 노회신(盧懷愼, 1415~1456년)이다. 지난해 노씨문중으로부터 묘를 이장하는 과정에서 석실 내 벽화가 발견되었다는 제보에 따라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에서 긴급 현지조사를 실시한 바 있으며, 추후 정밀 발굴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문중과의 협의를 거쳐 석실에 대한 재 포장 등 임시 보호조치를 해왔다. 묘 이장 시 벽화묘의 봉분 둘레석과 석물(묘비석, 장명등, 상대석, 문인석)은 모두 충남 청양으로 옮겨가고, 현재는 벽화가 있는 석실만이 남아 있는 상태이다.

벽화묘는 1456년(세조 2년)에 조성된 조선시대 무덤으로, 방형 봉분(方形封墳) 내에 앞트기식돌방(橫口式石室) 두 개가 잇대어 배치되어 있다. 석실의 각 벽체는 하나의 대형 화강암석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석실의 천장은 각각 2매의 대형 판석으로 덮여 있다. 석실 내부의 벽면과 천장에는 먹과 붉은색 안료 등을 이용하여 그린 사신도(四神圖)와 인물도(人物圖), 성좌도(星座圖)가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남아 있다. 묘주가 안치된 북쪽의 석실과 매장 흔적이 없는 남쪽 석실이 벽화의 구성에 있어 차이를 보이고 있다.
묘를 축조할 당시 두 석실의 천장에 성좌도와 네 벽면에 사신도를 미리 그려 넣었고, 이후 묘주를 매장할 때에는 북쪽 석실의 벽면 하단에만 12구의 인물상을 추가로 배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인물상은 벽면에 직접 묵선(墨線)으로 그린 인물의 윤곽, 손에 쥔 홀(笏), 머리에 쓴 책(幘, 쓰개의 일종)과 얼굴의 채색(彩色) 등 1352년 조성된 파주 서곡리(瑞谷里) 벽화묘와 유사하게 표현되어 있어 아마도 12지신상(十二支神像)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원주 동화리 벽화묘는 밀양 고법리 벽화묘(松隱 朴翊 묘, 2000년 9월 발견)에 이어 국내에서 두 번째로 발견된 조선시대 벽화묘로, 십이지를 표현한 인물상과 더불어 사신도를 배치하고 있어 삼국시대부터 유행한 사신도가 조선시대까지 계승된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특히 남쪽 석실의 사신도 가운데 백호(白虎)의 얼굴은 다소 익살스럽게 표현되어 있어 민화의 시원적 화풍을 느끼게 하고 있어 주목된다.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는 국립문화재연구소(복원기술연구실)와 함께 조선시대 전기의 회화사, 복식사, 민속학 연구에 있어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는 벽화묘의 발굴조사 및 보존처리를 공동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향후 보존처리가 완료되면 국가귀속절차를 거쳐 국립박물관 등 관련 기관에서 벽화묘에 대한 보존 및 활용방안을 마련하여 복원 및 공개 등을 추진하게 될 예정이다.


담당자 :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황인호, 어창선
전화번호 : 043-855-8962



도 1. 벽화묘의 석실 약실측도



도 2. 원주 동화리 벽화묘의 석실 노출 모습 (동쪽에서)



도 3. 북쪽 석실의 내부 벽화 모습 (동 단벽 쪽에서)




도 4. 북쪽 석실 서 단벽의 인물상 세부



도 5. 남쪽 석실 북 장벽의 백호 및 세부 모습

Posted by 게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