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지 서울시 교육감이라는 사람이 기를 쓰고 추진 중인 국제중 설립 문제만이 아니다.
MB 정부의 교육 정책이라는 것이 기본적으로 시장 경쟁이라는 기본 틀 안에 놓여 있다.
그런데 경쟁을 통해야만 교육의 목적이 달성되는가?
교육의 목적이 무엇인가? 대한민국의 학교들은 기능 육성 기관인가?
국제중 입학의 중요한 잣대가 되는 영어가 중요한 이유는 도대체 무엇인가?

정운찬 "선진국되려면 영어보다 국어 가르쳐야" [한겨레]
말이 사고의 도구이며 사고가 모여 문화를 이룬다.
정운찬씨의 말은 일리가 있다. 영어라는 말이 중요한 게 아니고, 그 이전에 사고의 완성이 더 중요한 것이다. 영어는 그저 도구, 기능일 뿐이다. 요즘 가장 대두되는 교육 경쟁의 주요 요소는 바로 이 기능성의 영어이다. 결국 경쟁의 목표가 얼마나 더 기능적인 인간이 되는 것이라는 얘기 아닌가?
생각해 보자. 지금 일어나는 일련의 교육정책들이 과연, 대한민국 교육의 가장 큰 목표가 되어야 할,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올바른 가치관의 확립과 훌륭한 문화의 계승 발전을 위한 정책인가?
교육은 백년 대계라 하는데, 이것이 백년 앞을 내다보는 정책이라 하겠는가 말이다.

또한, 경쟁이 교육의 기본 방침이 되어서도 안된다. 교육이 제대로 안되는 이유가 치열한 경쟁이 없어서인가? 다른 것도 마찬가지지만, 교육도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가장 중요하다. 경쟁이라는 외적 요소에 의해 강압적인 방식으로 교육이 진행된다면, 그야말로 생존경쟁에서 살아남는 소수만이 걸러질 것이다. 하지만 생각해 보자. 그 소수가 정말 우수한 사람들인가? 있는 지식들만 바쁘게 짚어 넣고 문제를 잘 푸는 방법론에 가장 익숙한 사람들 아닌가? 이 시대가 진정 원하는 창조적인 사람, 깊이있는 사고의 폭을 가진 사람들을 만들어낼 수 있을까 말이다. 이런게 도대체 경쟁적인 교육으로 되는 일인가?

공부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론은 기초를 튼튼히 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교육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론은 그 목적하는 바의 기초를 가장 잘 실천하려고 하는데 있다. 곁가지를 아무리 열심히 붙여봤자, 기초가 부실하면 다 소용없다.

공정택이라는 사람이 명색이 교육자라는 양반인데, 이런 사실을 모를 리 없고, 계속해서 국제중 기필코 설립하고 말겠다는 얘기를 계속 해대면, 우리는 어떻게 이해를 해야 할까?
혹 이 사람, 뭔가 그쪽으로 이해 관계가 있는 것 아닌가?
당연히 오해이길 바라지만, 이것 말고는 달리 해석이 안되니 어쩌나.

[게몽]
Posted by 게몽 :